-
가정폭력 피해를 입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가정폭력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하고 피해 사실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찰 신고 후에는 보호명령이나 접근금지명령을 법원에 신청하여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사진, 병원 진단서 등)를 확보하고, 필요시 형사 고소를 통해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부정행위 증거 확보하다 고소당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정행위 증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에게 명예훼손, 초상권 침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으로 고소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적으로 인정되는 정당한 범위 내에서 증거를 확보했다면 처벌 가능성은 낮습니다. 우선, 확보한 증거가 법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수집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변호사와 함께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고소의 부당성을 소명해야 합니다. 만약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증거 확보 방법을 사용했다면, 변호사는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적극적으로 변론해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고소 상황에서는 신속히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배우자를 미성년자 약취유인죄로 고소하려는데 가능할까요?
배우자를 미성년자 약취유인죄로 고소하려면, 배우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미성년자를 의도적으로 유인하거나 데려간 명백한 사실이 있어야 합니다. 이 죄는 미성년자의 자유와 안전을 침해하는 행위를 엄격히 처벌하기 위한 법으로, 고소가 가능하려면 구체적인 증거와 정황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가 미성년자를 강제로 데려가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유인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자녀를 동반하거나 보호하려는 행위는 이 죄에 해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고소를 고려하신다면, 먼저 변호사와 상세한 상담을 통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고, 법적으로 가능한 고소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